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치료의 개념/정의/분류

by 파이프라인 끌어당김 2022. 12. 24.

1. 수치료의 정의

Nulin은 "수치료는 치료적 목적을 위해 물을 적용하는 물리치료의 한 분야"라고 정의하였으며, Baruch는 "수치료에는 

고체나 액체, 기포 그리고 얼음이나 증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물의 형태를 신체에 내적 혹은 외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포함된다"하고 말하였습니다. 수치료의 역사에서 살펴본 것처럼 수치료의 발생은 거의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 

되었으며 많은 사람에 의해 수정 보완되면서 발전하여 왔습니다. 따라서 한 마디로 수치료의 정의를 내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협의의 개념에서 수치료를 간단히 정의한다면 "수치료란 의료적 목적 달성을 위해 물의

여러 가지 다양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물리치료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수치료의 분류

수치료는 온도, 적용 부위, 치료목적, 약품 사용 여부 등에 의하여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온도에 따른 분류

 - 한랭 적용, 미온 적용, 중혼 적용, 고온 적용, 온/냉 교대 적용, 점진적 온도상승 적용

 

2) 적용되는 부위에 따른 분류

 - 전신 적용, 국소 및 부분 적용, 외적 및 내적 적용

 

3) 적용 방법에 따른 분류

 - 침수, 분무, 세척 및 관장, 관수 및 마찰 세척, 찜질 포/습포/고온 습포

 

4) 목적하는 치료 효과에 따른 분류

 - 진통, 해열, 항 연축, 배설촉진, 발열, 진정과 수면, 자극과 강장, 발한

 

5) 사용된 물리, 화학적 요소에 따른 분류

 - 열수 적용, 유체동력학적 적용(세척), 수소 화학 적용(산소욕, 이산화탄소 욕)

 - 열수와 유체동력학적 혼용 적용(소용돌이 욕)

 - 수소 화학, 동력학적 혼용 적용(염 마찰)

 - 열수와 수소 화학 혼용 적용(유황 욕)

 - 열수, 동력학적, 수소 화학 혼용 적용(약품을 첨가한 소용돌이 욕 등)

 

3. 수치료에서 온도분류와 적용 범위

1) 온도분류

 -  수치료에 있어서 온도의 분류는 사람에 따라서 차이가 있긴 하지만 그중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류법이

    Pries snits의 분류법입니다.

 

2) 적용 범위

 - 수치료에서 사용하는 물의 형태는 액체, 기체, 고체와 같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형태의 물을 치료에 이용했느냐에

   따라 제한온도의 범위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의 물을 사용할 때 피부조직의 손상을 주지 않는 온도 범위는 

   하한 안전 온도 4.4℃(40℉), 상한 안전 온도 43.3~46.1℃(110~115℉) 정도입니다.

4. 물의 사용에 따른 치료적 효과

수치료 발전에 위대한 업적을 남긴 Baruch는 물의 사용에 따른 치료 효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1) 자극 효과

 - 물을 인체에 작용했을 때 물과 피부의 온도 차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로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자극 효과의 예로는

   기절한 사람의 얼굴이나 가슴에 찬물을 끼얹는 경우 등이 해당하며, 기관이나 국소에 작용을 일으킵니다. 여기에 

   해당하는 수치료법으로는 관수, 염수 욕, 상자 욕, 관장, 장세척, 한랭 욕과 고온욕, 고온 및 한랭분무 욕, 염 마찰, 시트팩,     소용돌이 욕 등이 있습니다.

 

2) 진정 효과

 - 물의 자극 효과에 견주어 보았을 때 이것은 불합리한 것처럼 보이지만 적당한 온도의 물을 적용하면 진정 효과를

   나타냅니다. 진정 효과는 약 34.7~37.8℃(94~100℉)에서 나타나며 광기가 있는 환자에게 적용한 여러 가지 강력한 

   진정제를 사용하였으나 효용이 없는 경우 37.8℃(100℉) 전후의 욕조에 넣고 지속 욕을 시키면 신경적 흥분이 가라앉고 

   진정될 수 있습니다. 이때 보통 평온함과 진정을 되찾음으로 잠이 옵니다. 여기에 해당하는 수치료법으로는 염수 욕, 

   상자 욕, 지속 욕, 탄산 광천욕, 중간 온도 분무 욕, 산소욕, 온욕, 습지 찜질 등이 있습니다.  

 

3) 강장 효과

 - 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잘 이용하면 결핵이나 기타의 질병이 있는 환자에게서 소화가 잘되고 영양상태가 좋아지며

   식욕이 증진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아닌 일반인에 있어서도 물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강건하게 하는 강장제로 

   작용합니다. 여기에 속하는 수치료법으로는 관수, 염수 욕, 상자 욕, 한랭 욕, 한랭분무 욕, 대조 욕, 탄산 광천욕,

   염 마찰, 시트팩 등이 있습니다. 

 

4) 이뇨 효과

 - 외적으로 냉수를 적용하면서 얼음물을 마시면 소변량의 증가와 함께 요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때 소변의 생산은 약 50~100% 정도 증가합니다.

 

5) 발한 효과

 - 고온욕을 하였을 경우 발한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발한이 증가하는 수치료법에는 염수 욕, 상자 욕, 고온욕, 

   온 습포 등이 있습니다.

 

6) 구토 효과

 - 다량의 미지근한 물을 마심으로써 위로부터 강제적으로 해독 물질을 토해내게 할 수 있습니다.

 

7) 설사제 효과

 - 세 장과 관장을 통하여 내장 속에 정체된 대변 등을 배설시킬 수 있습니다.

 

8) 대사 효과

 - 물을 적절한 방법으로 잘 이용하였을 경우 여러 가지 생리적 효과에 의하여 대사 작용의 증진이 일어납니다.

 

9) 방부 효과

 - 증기나 끓는 물은 병원성 미생물의 발육과 그 작용을 제거 또는 정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10) 해열 효과

 - 물과 신체 사이의 온도 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35.0~37.8℃(95~100℉) 온도의 욕조에 장시간 담그면 해열 

   효과가 나타납니다. 여기에 속하는 수치료법으로는 마찰 세척, 장세척, 장시간의 미온욕, 시트팩 등이 있습니다.

 

11) 수면 효과

 - 물이 직접적으로 잠을 오게 하는 것은 아니나 물의 적용으로 인한 생리적인 효과에 의해 수면이 유도됩니다. 

   수면 효과를 나타내는 수치료법으로는 지속 탕욕, 시트팩 등이 있습니다. 

 

12) 발열 효과

 - 치료목적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열을 나게 하거나 체온을 상승시킬 때 나타나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며

   여기에 속하는 수치료로는 염수 욕, 상자 욕, 고온 침수 욕, 온열 담요 팩 등이 있다.

 

13) 진통 효과

 - 수치료를 적절히 이용하면 진통 작용이 나타납니다. 진통 작용이 일어나는 기전에 관하여서는 열의 생리학적 효과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진통 작용을 일으킬 목적으로 적용하는 수치료법에는 습포, 엘리엇 치료, 고온 습포, 온찜질,

   얼음주머니, 파라핀욕 등이 있습니다. 

 

14) 국소마취 효과

 - 얼음을 사용하여 신체적 조직을 냉각시키거나 차게 하면 피부에 있는 감수기들이 일시적으로 자극에 대한 감지 능력을

   상실하여 약품에 의하여 마취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댓글